제목 | 프랑스 CRIIRAD, “Taishan-1호기 실제 손상 연료봉은 70다발” 주장 | ||
---|---|---|---|
작성자 | Master | 작성일 | 2021-12-27 |
첨부파일 | |||
[프랑스, 중국] 프랑스 CRIIRAD, “Taishan-1호기 실제 손상 연료봉은 70다발” 주장 ○ 12월 20일, 프랑스 CRIIRAD* Bruno Chareyron 위원장은 Taishan 1호기(EPR) 연료봉이 손상되었을 당시 실제로 손상된 연료봉은 70다발**이라고 주장함 * CRIIRAD : 프랑스의 원자력 이슈를 다루는 NGO로, 방사선 노출에 관련된 정보를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 설립되었음 ** 6월 16일 사고 당시, 중국 생태환경부는 연료봉 5다발이 손상되었다고 발표함 - Chareyron 위원장은 해당정보를 내부고발자로부터 신고받았으며, Taishan 1호기 상황에 대한 문서도 입수하였다고 덧붙임 · 내부고발자는 Taishan 1호기 사업과 관련된 익명 프랑스 원자력 엔지니어이며, 고용 문제로 익명성을 요청하였음 - Chareyron 위원장은 연료봉 손상의 원인은 EPR 노형의 설계상 문제로 인해 발생했고, 원자로 압력용기(RPV) 하부에 위치한 유동분포장치(flow distribution device)*가 동수력학적 불안정성(hydrodynamic instability)에 대해 완충작용을 하지 못하면서 발생했다고 밝힘 * 냉각수가 연료집합체로 흐르는 것을 조절하는 EPR 고유장치로, RPV 하부 공간에 소용돌이의 발생을 방지함. EPR는 他노형과 달리 원자로 하부헤드관통부(lower vessel head penetration)가 없어 용기하부에 유동 불안정성이 발생함. · 또한, 해당 사고로 인해 ① 반감기가 긴 방사선 가스의 노출, ② 일차 회로에서 일하는 직원의 방사선 노출, ③ 연료체 손상으로 인한 제어봉의 오작동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고 언급함 · Chareyron 위원장은 Taishan 1호기 사건은 동 노형을 사용하는 Flamanville 3호기, Olkiluoto 3호기*, Hinkley Point C에도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임 * Olkiluoto 3호기의 경우, 핀란드 STUK는 동 원전이 Taishan 1호기와 다른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었다고 언급함. 다만 Chareyron 위원장은 연료가 달라도 EPR 설계문제를 완화할 수 없다고 주장함 - CRIIRAD는 Taishan-1 사고에 대한 조사를 위해 자료를 프랑스 원자력안전위원회(ASN)에 제출하기로 결정하였다고 밝힘 ※ 원문 : Number of Damaged Fuel Rods at Taishan-1 Higher than Reported : French NGO (Nucleonics Week, ’21.12.23) |
번호 | 제목 | 작성자 | 작성일 | 조회수 |
---|---|---|---|---|
5443 | 이집트 El-Dabaa 1호기, 올 하반기 건설허가 취득 예.. | Master | 2022-04-19 | 86 |
5442 | 체코 Temelin 원전, 2024년부터 러시아로부터 연료 .. | Master | 2022-04-19 | 70 |
5441 | 캐나다 SNC-Lavalin社, Moltex社와 SMR 개발협력 발표 | Master | 2022-04-18 | 61 |
5440 | IAEA, 스리랑카 통합원자력인프라점검(INIR) 검토 .. | Master | 2022-04-18 | 42 |
5439 | 카자흐스탄, 신규원전 도입을 위한 부지 물색 중 | Master | 2022-04-15 | 73 |
5438 | 미국 NRC, 원전 면허갱신 관련 환경분석 요건 개정.. | Master | 2022-04-15 | 59 |
5437 | 캐나다 Laurentis社, Fermi Energia社와 에스토니아 SMR .. | Master | 2022-04-14 | 53 |
5436 | 미국 WEC社, 체코 원자력 기업 9개社와 MOU 체결 | Master | 2022-04-14 | 86 |
5435 | 스페인 Iberdrola社, Cofrentes 원전 재가동 시도 | Master | 2022-04-13 | 70 |
5434 | 이란, Darkhovin 원자력 발전소 건설사업 추진 재확.. | Master | 2022-04-13 | 71 |